상담자를 위한 정보

소개 / 정보 / 상담자를 위한 정보

성폭력 피해자를 만날 때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

성폭력 피해자를 만날 때 성과 관련된 편견 때문에 수용적인 태도로 대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혹은 무기력하고 통제력이 없는 피해자로만 보게 되기도 합니다. 내담자를 치유 잠재력을 가진 생존자로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초기 면담 시 상담자 소개, 면담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비밀보장의 한계 등을 명확하게 설명해주시고, 내담자의 동의를 먼저 구해야 합니다.
피해자는 감정이 격앙되어 있거나 불안해하거나, 경계하고 방어하는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치료자는 인내심을 가지고 대해야 하며, 압박을 주거나 심문하는 느낌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호기심 어린 표정을 보이거나 피해자에게 “왜 그렇게 했나요?” 등 이유나 동기를 묻는 질문은 피하도록 합니다. 대신 공감적인 태도를 드러낼 수 있는 표현이 좋습니다.
상담자: 안녕하세요. 저는 00상담소의 상담자 000입니다. 지금부터 A씨께서 겪은 일에 대해서 여쭤볼 겁니다. 하지만 지금 모든 걸 다 이야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너무 힘들지 않은 선에서 할 수 있는 만큼, 하고 싶은 만큼만 이야기해주시면 됩니다.
(비밀보장의 한계 설명) 여기서 하는 이야기는 비밀이 보장됩니다. 다만 자신이나 타인을 해칠 위험이 있는 경우는 예외가 됩니다.

위기 평가

본격적인 심리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위험 요소들을 확인하고 우선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여전히 폭력이나 위험 요소가 있는 환경에 있는가?
    • 추가적인 피해의 가능성이 있지는 않은지, 가해자 등으로부터 협박이나 보복위험에 시달리지는 않는지 확인하고 가능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위험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안정적으로 외상 경험을 탐색하고 처리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안전한 환경에서 안정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합니다.
  • 술이나 기타 약물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가?
    • 술이나 약물과 관련된 문제가 있다면, 이 문제를 먼저 다루는 것이 필요합니다. 치료자가 중독 문제를 다룰 수 있다면 우선적으로 다루고, 중독 문제가 심각하다면 이를 먼저 해결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에 연계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자해나 자살의 위험이 있는가?
    • 자해나 자살 위험을 파악하고, 이를 방지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자해나 자살 위험이 크고 심각하다면, 위기 개입이 필요하며, 입원 치료 등을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
      자해나 자살위험 판단 구분 표
      구분 내용
      기본 질문● 자살사고: 자살하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나?
      ● 자살계획: 자살하려고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운 적 있나?
      ● 자살시도: 자살을 시도한 적 있나?
      위험 징후 ● 우울감, 기분저하, 과도한 슬픔을 느낄 때
      ● 희망, 가치 또는 삶의 목적이 없다고 느낄 때, 흥미저하
      ● 죽음에 대한 생각이나 이야기에 집착할 때
      ● 자살 가능한 도구나 약물을 구하려고 할 때
      ● 감정 기복이 클 때
      ● 흥분, 격노가 심하거나, 복수하고 싶다고 느낄 때
      ● 거칠거나 자기파괴적 행동을 보일 때
      ● 삶의 위기나 정신적 충격을 받거나, 좌절을 느낄 때
      ● 갑자기 침착해질 때
      ● 표정, 행동, 성격의 급격한 변화
      ● 수면습관이나 식습관의 변화
      ● 자신의 주변을 정리할 때

      성폭력 사건 보도수첩(여성가족부, 한국기자협회 & 여성·아동폭력피해중앙지원단, 2014)

  • 일상생활 유지가 가능한가?
    • 위험한 환경, 중독 문제, 자해나 자살 위험 외에도 심한 불안, 우울 등의 정신과적인 증상이 조절이 어렵고, 일상생활을 거의 유지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른다면 약물 치료 등으로 이를 먼저 조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치료 초반에는 안정화 기법들을 통해서 일상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 자기 관리의 기본적인 측면들을 체크하라.
    • 신체적 건강, 재정 관리, 학업이나 직업 생활 등 도움이 필요하거나 관심을 더 기울여야 할 부분이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도움을 받도록 해야 합니다.
  • 가족, 친구, 선생님, 직장 동료나 상사 등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사람이 있는지
    • 있다면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찾아보는 것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구글 아이콘 메일 아이콘 프린트 아이콘